(단위: mg/일) | |||||
---|---|---|---|---|---|
구분 | 유아 | 남자 | 여자 | ||
6-8세 | 9-11세 | 6-8세 | 9-11세 | ||
충분 | 100 | 160 | 230 | 150 | 210 |
상한 | 901) | 130 | 180 | 130 | 180 |
1)식품 외 급원의 마그네슘만 해당
※ 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by 보건복지부
기능 특성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혈중 칼슘 농도가 낮아져 저칼슘혈증(hypocalcemia)이 나타나 근육경련, 고혈압, 관상혈관과 뇌혈관의 경련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나트륨과 칼슘 펌프의 손상으로 인해 신경세포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또한 마그네슘은 골격과 무기질의 항상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골격세포의 기능뿐만 아니라 뼈의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결정의 형성과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마그네슘 결핍은 폐경 후 골다공증 발생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노인은 식욕부진, 치아 문제, 부실한 식사 등으로 인해 마그네슘 섭취가 낮은 편이며 또한 흡수율도 감소되어 마그네슘 결핍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 밖에도 이뇨제 사용자, 알코올 중독자, 당뇨병이나 더운 기후에서 몇 주간 심하게 땀을 흘리거나 장기간의 설사나 구토시 결핍될 수 있다.
식품 중에 고유로 함유되거나 강화된 마그네슘은 유해영향을 보이지 않으므로 마그네슘의 상한섭취량은 식품 외(주로 하제 등 약리적 목적) 급원 섭취량에 국한한다. 독성종말점은 삼투성 설사이며, 신장기능장애가 있을 경우 고마그네슘혈증(〉2.5~3.5m㏖/L)을 유발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및 출처